본문 바로가기

학과소개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글자크게 글자작게 프린트

송현정(Song Hyunjung) 교수

  • 세부전공국어교육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064-754-3211/82-64-754-3211
  • 이메일shj@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학사(1991)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학석사(1993)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육학박사(1998)
주요경력 George Mason University(미국) 한국학센터 연구원(2007)
Georgetown University(미국) 한국어 강의 교수(200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주요논문 ▣ 논문
송현정(2009), 문법 교육을 위한 내용교수법적 접근, 초등국어교육연구
송현정(2010), 국어과 문법 과목의 영역 구조와 내용 , 국어교육연구
송현정(2011),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송현정(2012), 국어 수업 참여에 대한 학습자 인식 실태 분석, 국어교육연구
송현정(2013), 국어 단축 표현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송현정(2014),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내용 분석 연구, 영주어문
송현정(2015), 수업 컨설팅을 위한 한국어 수업 분석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송현정(2015), 대학생 글쓰기 기초를 위한 문법 진단 평가 분석 연구, 국어교육연구
송현정(2016), 2009와 2015 改定 國語科 敎育課程 文法 嶺域 比較, 어문연구
송현정(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문법 단원 분석 연구, 국어교육연구
송현정(2018), 국어과 수업을 위한 교실토론 모형 설계 방안, 영주어문
송현정(2020), 국어과 토론 수업을 위한 교실토론의 절차와 유형, 영주어문
송현정(2021), 독서 치료를 위한 교사의 발문 제시 방안 연구, 국어국문학
송현정(2022), 국어과 예비교사의 작문 수업 활동을 위한 지도의 실제 -브레인라이팅(brainwriting) 전략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 저서
송현정(2020), 국어 표기법의 이해와 실제, 보고사
송현정(2022), 예비교사의 다문화 학생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국어 생활 정서법, 비아아트

+-

권유성(Kwon Yuseong) 부교수

  • 세부전공현대시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064-754-3218/82-64-754-3218
  • 이메일kys@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경북대학교(문학석사)
경북대학교(문학박사)
주요경력 경북대학교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주요논문 ▣ 논문
백석 시에 나타난 전통 지향의 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920년대 ‘조선적’ 서정시의 창출 과정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소재 시가의 탈식민성 연구, 한국시학연구 10호, 2004.
1920년대 초기 황석우 시의 비유 구조 연구, 국어국문학 142호, 2006.
김소월 《詩魂》의 반시론적 성격 연구, 국어국문학 159호, 2011.
1910년대 《학지광》소재 문예론 연구, 한국민족문화 45호, 2012.
1920년대 내재율 개념의 수용과 정착 과정 연구, 어문학 120호, 2013.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잡지의 문예론과 시적 실천 양상 연구, 국어국문학 165호, 2013.
1920년대 초기 시의 미학성과 사상성, 국어국문학 172호, 2015 외.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71호, 2017.
1920년대 동인지문단 붕괴의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일 고찰- 감정통제 동학으로서의 신경쇠약담론을 중심으로 -, 배달말60권, 2017.
김억의 번역론과 시론의 상관성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19집, 2018.
김수열 4·3시 연구: ‘몰명(沒名)’의 세계에 이름 붙이기, 배달말63권, 2018.
정지용 『백록담』의 구조적 특징과 아이러니, 한국시학연구57호, 2019.
제주 4·3시의 현실대응 양상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20집. 2019.
1921년 『동아일보』 ‘독자문단’ 투고 ‘소월(素月)’ 시의 저자 확정을 위한 연구, 배달말학회, 2020.

▣ 저서
권유성, 1910년대 문학과 근대(공저), 월인, 2005.
권유성, 파시즘미학의 본질(공저), 예옥, 2009.
권유성, 한국 근대 서정시의 기원과 풍경, 역락, 2014.

+-

최대희(Choi Daehee) 교수

  • 세부전공국어사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064-754-3213/82-64-754-3213
  • 이메일ch1637@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학사
건국대학교 (문학석사)
건국대학교 (문학박사)
주요경력 건국대학교 연구교수
한말연구학회 이사
건국대학교, 단국대학교, 강남대학교, 송담대학교 강의
주요논문 ▣ 논문
최대희(2013), ‘-오-’의 실현과 의존명사 명사성과의 상관성 연구,한말연구32호
최대희(2014), 국어의 이름마디 변천 연구, 한말연구34호.
최대희(2014), ‘-오-’의 소멸과 명사구 내포문 구성 변천과의 상관성, 국제어문62집
최대희(2015),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의 실현, 인문과학연구44.
최대희(2015), 국어 매인이름씨 ‘줄, 바’의 변천 연구, 한말연구36.
최대희(2017), 의존명사 ‘듯’의 변천과 어미화 과정, 영주어문35.
최대희(2017), 중세국어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한말연구45.
최대희(2018), 19세기 국어의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한말연구49.
최대희(2019), 매김법 제약과 어찌말 매인이름씨 변천과의 상관성, 한말연구52.
최대희(2020), 국어사 수업에 적용한 PCK 교수법 사례 분석, 교육과학연구22-2.
최대희(2021), 매인이름씨 ‘뿐, 따름’의 변천 연구, 연주어문48.
최대희(2022), 제주 방언의 이름마디 연구, 교육과학연구24-3.
최대희(2022), 제주 방언의 ‘-ㅁ, -ㄴ, -ㄹ’ 연구 ?연령별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한말연구63.
최대희(2023), 현대국어 어찌말 매인이름씨 연구, 교육과학연구25-2.

▣ 저서
17세기 국어의 이름마디 구조 (2011), 한국학술정보
새로운 국어사 연구론 (2010), 경진
선어말어미 ‘-오-’ 연구론 (2015), 박이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기본문법론 (2021), 한국학술정보

+-

노대원(Noh Daewon) 부교수

  • 세부전공현대소설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064-754-3212/82-64-754-3212
  • 이메일novel@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 신문방송학
서강대학교(문학석사)
서강대학교(문학박사)
주요경력 서강대학교, 명지대학교, 강원대학교, 공주대학교 강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편집위원
주요논문 ▣ 학위논문
「최인호 초기 단편소설의 카니발적 특성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마음의 신체화’양상에 관한 인지 서사학적 연구 - 1960~70년대 질병-치유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학술지 논문
「유가(儒家)의자연관으로본이청준소설」, 『문학과환경』 11권 2호, 문학과환경학회, 2012.
「식민지 근대성의 ‘문화 의사(cultural physician)’로서 이상(李箱) 시」, 『문학치료연구』 27권,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이인성 소설 『한없이 낮은 숨결』의 수사학적 연구」, 『Comparative Korean Studies』 21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이청준 소설의 자서전적 텍스트성」, 『국제어문』 62호, 국제어문학회, 2014.
「1960년대 한국 소설의 심신 의학적 상상력」, 『문학치료연구』 33권, 한국문학치료학회,2014.
「문학적 크로노토프와 신체화」,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9권 2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서사의 작중인물과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 『현대문학이론연구』 61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한국 문학의 포스트휴먼적 상상력」, 『Comparative Korean Studies』 23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체계 수사학을 이용한 문학 텍스트 분석과 작문 교육, 한국문학이론과비평 20권 4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라는 타자와의 대화를 위하여-, 우리말글 71권, 우리말글학회, 2016.
한국 현대소설의 여담(餘談)적 담화 연구 :­ 최인훈의 『서유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100호, 한국언어문학회, 2017.
이인성 소설에 나타난 소통의 불안 ― 『한없이 낮은 숨결』과 『미쳐버리고 싶은, 미쳐지지 않는』을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45권, 한국문학치료학회, 2017.
현대 서사 문화 속의 제주 해녀 ― 소설, 시, 영화, 웹툰의 해녀 이미지와 그 변화 양상, 한국언어문학 103호, 한국언어문학회, 2017.
인지신경과학과 서사 윤리학, 한국문학이론과비평 21권 4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대체 역사 SF의 젠더 정치학 ― 복거일 소설 『비명을 찾아서』의 비판적 독해, Trans-Humanities 11권 1호,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8.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 SF ― 미래 인간을 위한 문학과 비평 이론의 모색, 비평문학 68호, 한국비평문학회, 2018.
힐링 담론과 치유의 문학교육, 국어교육연구 68권, 국어교육학회, 2018.
SF의 장르 특성과 융합적 문학교육, 영주어문 42권, 영주어문학회, 2019.

▣ 저서
『신동엽, 융합적 인간을 꿈꾸다』(공저), 삶창, 2013.

▣ 평론
「지하미궁, 그 지독한 악몽으로부터의 탈출 『웰컴 투 더 언더그라운드』의 공간 상상력」, 『창작과비평』 2008년 봄호. (대산대학문학상 수상작)
「이색 직업의 탄생 - 최근 소설에 나타난 노동의 변화와 유동적 불안에 대하여」, 『문화일보』 2011.1.1. (신춘문예 당선작)
「청춘의 열정을 위한 변론, 소수의견을 위한 법정 콘서트 - 손아람의 소설」, 『작가와비평』 2011년 상반기.
「홈스 콤플렉스 - 최제훈 소설의 한 읽기」, 『문학동네』 2011 겨울호.
「레토리카와 에티카 사이의 문장들 - 이기호 「탄원의 문장」」, 『자음과모음』 2012년 봄호.
「어떤 전쟁 김경욱 소설의 한 읽기」, 『문예중앙』 2012년 봄호.
「나는 「박형서론」을 이렇게 쓸 것이다」, 『문학동네』 2012년 가을호.
「폭력과 증언 한강과 이기호의 신작 장편에 관해」, 『문학들』 2014년 겨울호.
「씻김의 노래와 앓음의 그림」, 이청준 전집 23, 『날개의 집』, 문학과지성사, 2015. 외 다수

+-

조유영(Jo Yuyoung) 부교수

  • 세부전공고전시가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064-754-3216/82-64-754-3216
  • 이메일uyoung24@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 한문학
경북대학교(문학석사)
경북대학교(문학박사)
주요경력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전임연구원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계약교수
주요논문 ▣ 논문
조선조 구곡가의 시가사적 전개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가투놀이의 형성과 정착과정, 영남학 11,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7.
삼국유사 소재 미추왕 설화의 형성배경과 그 의미, 어문학 98, 한국어문학회, 2009.
가투(歌鬪)의 시조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시조학논총 31, 한국시조학회, 2009.
퇴계 이황의 <무이도가(武夷櫂歌)> 수용의식과 <구곡시(九曲詩)> 창작의 의미, 동남어문학 36, 동남어문학회, 2013.
채헌의 <석문정구곡도가(石門亭九曲棹歌)>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그 의미, 어문론총 60, 한국문학언어학회, 2014.
<오대어부가구곡(梧臺漁父歌九曲)>에 나타난 ‘오대(梧臺)’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시조학논총 41, 한국시조학회, 2014.
남행록(南行錄) 소재 퇴계 기행시의 특징과 의미, 동방학 32, 동양고전연구소, 2015.
<하서도통가(河西道統歌)>의 서술 양상과 창작배경, 어문론총 66, 한국문학언어학회, 2015.
조선 후기 향촌사족의 이상향 지향과 그 의미 -<황남별곡(黃南別曲)>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71, 우리말글학회, 2016.
청대(淸臺) 권상일(權相一)의 청대구곡(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대동한문학 49, 대동한문학회, 2016.
채헌의 구곡시가 창작의 보편성과 특수성 - 시적 대상의 표현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75, 우리말글학회, 2017.
조선 후기 영남지역 가사에 나타난 도통(道統) 구현 양상과 그 의미 -「황남별곡(黃南別曲)」과 「황산별곡(黃山別曲)」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103, 한국언어문학회, 2017.
대산 이상정의 <남유록>에 나타난 여행 기록의 특징과 의미, 남명학 23, 남명학연구원, 2018.
<대구십영>에 나타난 대구의 시적 형상과 그 지역 문학적 의미, 어문론총 77, 한국문학언어학회, 2018.
조황의 「기구요」에 나타난 도통 구현 양상과 그 의미, 시조학논총 50, 한국시조학회, 2019.
영남지역 구곡원림의 유형에 따른 시적 형상화 양상과 그 지역문화적 특징, 어문학 143, 한국어문학회, 2019.
명암가사(明庵歌辭) <오도가(吾道歌)>의 도통(道統) 형상과 그 의미, 한국문학논총 83, 한국문학회, 2019.
<춘풍감회녹>의 작자 고증과 서술 양상, 한국문학논총 89, 한국문학회, 2021.
<태평책가>의 서술 방식과 명암 이태일의 현실 인식, 국어교육연구 78, 국어교육학회, 2022.
옥소 권섭의 <화지구곡가>에 나타난 구곡 형상과 그 의미, 영남학 80,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22.
노계 박인로의 시가 문학에 나타난 충효 인식과 그 의미, 백록어문교육 29,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낙동강 중류지역을 중심으로. 영남학 83,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22.
근대전환기 명암가사 <태평책가>의 환상성과 그 의미, 문화와 융합 Vol.45 No.8,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 저서
한국 고전문학과 문화어문학(공저), 역락, 2018.
대구 공간과 문화어문학,(공저), 역락, 2019.
대구지역 서원의 현황과 활용방안(공저), 중문출판사, 2020.
낙동강과 문화어문학(공저), 역락, 2022
옥소 권섭의 세계인식과 문경(공저), ㈜경일, 2022.
가볍게 읽는 한국문학 이야기(공저), 경북대출판부, 2022.

+-

현승환(Hyun Seunghwan) 명예교수

  • 세부전공구비문학
  • 연구실
  • 전화/국제전화/
  • 이메일hyunsh52@jejunu.ac.kr
  • 홈페이지
경력 및 논문
경력 및 논문
학력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제주대학교 (문학석사)
제주대학교 (문학박사)
주요경력
주요논문 ▣ 학위논문
1.현승환, ‘내복에 산다’系 說話 硏究, 博士學位論文, 濟州大學校大學院 國語國文學科, 1993.2.

▣ 학술지 논문
1. 현승환, 제주도 풍수설화의 이해, 탐라문화 22,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2.
2. 현승환, 헌화가 배경설화의 기자의례적 성격, 한국시가학회, 2002.
3. 현승환, 국제자유도시에서 한국어 보존, 언어학연구 7권 1호,제주언어학회, 2002.
4. 현승환 외1, 국어사용 실태연구:제주관광안내책자의 언어를 중심으로, 언어학연구, 8권 1호, 제주언어학회, 2003.
5. 현승환, 실존인물 김만덕의 문학과과정, 백록어문 20·21, 백록어문학회, 2004.
6. 현승환, 해양설화, 한국의 해양문화, 해양수산부, 2002.
7. 현승환, 제주도 설화의 이해 1, 교육제주 119호, 2003 가을, 제주도교육청, 2003.
8. 현승환, 제주도 설화의 이해 2, 교육제주 120호, 2003 겨울, 제주도교육청, 2003.
9. 현승환, 제주도 설화의 이해 3, 교육제주 121호, 2004 봄, 제주도교육청, 2004.
10. 현승환, 제주도 설화의 이해 4, 교육제주 122호, 2004 여름, 제주도교육청, 2004.
11. 현승환, 제주도의 민속, 남제주문화(창간호), 남제주문화원, 2004.
12. 현승환, 해가 배경설화의 기자의례적 성격, 한국언어문학 59집, 한국언어문학회, 2006.
13. 현승환, 『탐라문화』의 성격과 발전 방향, 탐라문화 33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8.
14. 현승환, 제주도의 본풀이와 민담의 교섭양상 -삼두구미본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35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9.
15. 현승환, 공무도하가 배경설화와 무혼굿, 한국민속학 52호, 한국민속학회, 2010.
16. 현승환, 설문대할망 설화 재고 ―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설화를 중심으로, 영주어문 24집, 영주어문학회, 2012.
17. 현승환, 지하국대적제치계 설화의 성인식과 기자의례적 성격, 한국언어문학 102집, 한국언어문학회, 2017.

+-